본문 바로가기

실험62

대다수 사람에겐 낯선 단위 몰(mol) 안녕하세요? 제목에서 부터 밝히는 바이지만, 아마 이 블로그의 포스팅을 읽으시는 대다수의 분들에게는 이 몰(mol)이라는 단위를 처음 들어 보실 분도 많으리라 생각이 됩니다. 제 경우에는 생명과학 실험실에서 실험을 하면서 대다수의 실험 시약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때 마다 이 몰과 관련이 되었던 일이 많았습니다. 물론 실험실에서 사용한 것은 정확하게 말하자면 '몰 질량(molar mass)'라고 해서 대문자 M으로 나타내는 '몰'과는 조금다른 단위인데, SI unit으로는 kg의 mol을 나타내지만, 실제로는 g/mol단위로 많이 사용이 되었습니다. 그럼 이 단위를 실험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약의 화학식을 바탕으로 해서 주기율표에 나와 있는 '원자 질량 단위'를 사용해서 계산을 했습니다. 아무튼 .. 2018. 7. 27.
인공지능도 착시현상에 속는다? 안녕하세요? 예전에 인공지능이 어떻게 해서 사물을 인식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는 '딮러닝'이라는 기능을 사용해서 인공 지능이 스스로 딸기라는 것을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타고 들어가서 한번 읽어 주셨으면 합니다. 링크:말은 많이 들었지만, 잘은 몰랐는 '딮 러닝(Deep Learning)' 먼저 위의 그림은 유명한 '뱀의 회전 착시'라는 이미지로, 가만히 있는 도형이 사람의 눈에는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유명한 그림인데, 이에 대해서는 '예측부호화'라고 해서, 이 가설에 따르면 우리가 인식하는 눈앞의 풍경이 보이는 그대로가 아니라 그 풍경으로 예측한 '약간 뒤의 미래'라는 가설입니다. 이 '예측 부호화'를 아직까지 검증한 사례는 .. 2018. 5. 31.